2014년 8월 15일 금요일

"XX이는 공부는 잘 했다는 것 같은데, 사람은 어때요?"

아주 전형적인 레퍼런스 체크 질문이다. 어차피 공부야 성적표 한 장만 봐도 대충 나오는 법. 그런데 공부 잘하는 것과 별개로 그 사람과 몇 년동안 매일아침 얼굴을 마주쳐야 한다면 성적표만 가지고 결정을 할 수는 없다. 개인적인 생각이지만, 함께 일해야 하는 사람을 고를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면 성적은 필요한 정도만 채우고 성격이 아주 나이스한 사람을 고를 수 있었으면 좋겠다. 내가 경험한 한국의 회사처럼 수직/상하 관계가 많은 조직에서 내가 윗사람이면 좀 덜하겠지만, 지금 직장처럼 상사와 부하가 역할상으로만 나눠지고 실제로는 거의 수평관계인 조직에서는 개인의 성격이라는게 때로는 성적표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. 아마 한국에서도 서로의 권한을 존중해주고 또 서로 오래 봐야하는 조직이면 사람을 뽑을 때 이런 조사가 들어가지 않을까?

또 성적은 숙제를 제때 잘 내고 수업을 안빠지는 성실함과, 시험을 잘 준비해서 높은 점수를 받으면 당연히 잘 나오는 것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것을 알고 있다. 그런데 직장에서 좋은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말로 하기도 쉽지 않고 실천하기는 더 어렵다. 참고서를 사더라도 실제로 성공 가능한 건 공부쪽이지 회사 인간관계기술은 책 좀 읽는다고 쉽게 향상되지는 않는다. 그래서 한국에서조차 회사에 들어가면 공부 아주 잘해야 간다는 대학교 출신들이 꽉막힌 사람 취급이나 받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.

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